
I/O란? 블로킹(Blocking)/논블로킹(Non-Blocking)은 입출력(I/O)에 관한 문제입니다. 이때 I/O는 뭘까요? I/O는 파일 읽기⋅쓰기, 데이터 베이스 읽기⋅쓰기, 네트워킹 보내기⋅결과 받기 등을 의미합니다. 즉, 이 I/O들은 CPU와 메모리의 밖과 소통하는 작업들입니다. 이 작업들의 특징은 대부분 처리가 느리다는건데요, 이 점을 생각하시고 다음 개념들에 대해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. 블로킹(Blocking)/논블로킹(Non-Blocking) 블로킹/논블로킹은 이 오래걸리는 I/O 작업을 스레드가 기다릴 것이냐 아니냐 입니다. 스레드가 기다리는 방식을 블로킹 이라고 하고, 기다리지 않는 방식을 논블로킹이라고 합니다. 블로킹 어떤 스레드가 작업을 처리하다가 I/O가 발생했다고 해봅시다...
기타
2023. 4. 9. 22:5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wiftUI
- Architecture Pattern
- SWM
- 프로그래머스
- MVI
- DocC
- 아키텍쳐 패턴
- 리액티브 프로그래밍
- notion
- MVVM
- 코디네이터 패턴
- combine
- 노션
- RX
- Bloking/Non-bloking
- swift
- ios
- 소프트웨어마에스트로
- 비동기/동기
- design pattern
- Swift Concurrency
- Flutter
- reactive programming
- GetX
- programmers
- coordinator pattern
- healthkit
- TestCode
- Flux
- MVC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